Euge.study( );
article thumbnail

오늘 TIL 3줄 요약

  • 프로그램은 책임감 있게 만들어야 하고, 끊임없이 관리해야한다.
  • SQL은 데이터베이스SQL은 관리해주는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이다.
  • 깃과 깃허브는 다른것이다. 깃이 커피라면 깃허브는 커피숍 정도로 비유 할 수 있다.

TIL (Today I Learned) 날짜

2023.01.22

 

오늘 읽은 범위

에피소드 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

에피소드 31 데이터와 단짝친구, SQL

에피소드 32 NoSQL이 뭐죠?

에피소드 33 깃&깃허브 똑같은거냐고?

에피소드 34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어요?

 

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.

[에피소드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]

  • 1959년에 탄생한 코볼은 지금의 파이썬과 같은느낌의 언어였다.
  • 오늘날 사용하는 핵심 인프라는 코볼로 만들어 진 것이 꽤나 많지만 코볼의 문제점은 커뮤니티가 너무적다. 이를 대체할 훌륭한 대체언어들이 많이서 젊은 개발자가 전혀 관심을 갖이 않는 언어이기 때문에 코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관리할 사람이 점점 사라지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.
  • 프로그램은 책임감있게만들어야하고,  시스템은 한번 구축하면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.

[에피소드31 데이터와 단짝친구, SQL]

  •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이다.
  • structured, 구조화된 /  query, 질문 문의 / language 언어
  •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질문 또는 문의를 하기위해 어떤 구조를 가진 언어. 즉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언어이다.
  •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창고의 역할만 하고, DBMS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이다.
  • SQL은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해주는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이다.
  • DBMS의 종류 : MySQL, PostgreSQL, SQLite, Oracle, MAriaDB 등 

[에피소드32 NoSQL이 뭐죠?]

  • NoSQL은 SQL과 다른것이다.
  • NoSQL의 데이터 베이스 종류는 되게많다.
  • 데이터형식이 매우 자유로운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 > MongoDB (몽고디비)
  • 읽고 쓰는 속도가 엄청 빠른 키값 데이터베이스 > 열이 넓은 CassandraDB(카산드라디비), 아마존이 만든DynamoDB(다이나모디비)
  • 노드로 관계를 표현하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 >페이스북은 자신들이 사용할 요량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아예개발함.
  • 인스타그램을 예로 들면 PostgreSQL을 사용하다가 회사가 성장하면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 옮기게 됨.
  • 기술에는 좋고 나쁨이 없고 용도에 맞게 쓰면 된다.

[에피소드33 깃&깃허브 똑같은거냐고?]

  • 깃은 파일의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.
  • 깃은 파일을 항상 지켜보는 사관이다.
  • 깃허브는 깃으로 관리한 파일 이력을 모두 저장해서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이다. 마치 파일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다.
  • 깃허브와 같은 서비스로는 깃랩, 비트버킷이라는 깃 이력 보관소 서비스도 있다.

[에피소드34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어요?]

  • SemVer는 숫자 3개로 표시하는 버전 표기 방식 : 시맨틱 버저닝(semantic versioning specification, SemVer)
  • 시맨틱 버저닝 방식으로 버전을 표기하는 대표 기술로는 리액트와 장고가 있다.
  • 첫번째 숫자의 변화는 이사하는 수준의 변화. 1.1.0 → 2.1.0 새버전에 맞게 코드를 업데이트 해야함
  • 중간 숫자의 변화는 소품, 인테리어로 살짝 업그레이드 하는 느낌.  16.7.0 →16.8.0 새 기능을 추가하는 수준
  • 마지막 숫자의 변화는 패치나 버그수정, 기존프로그램의 오류를 수정한 것. 4.0.25 수정을 25번 한 거라고 보면됨.

오늘 읽은 소감은?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

  • 이전회사에서 개발자들이 SQL 얘기하는걸 전혀모른채로 그냥 하는 얘기만 들었는데 오늘 어떤 역할을 하는건지 이해되었다.
  • 깃과 깃허브가 같은거라고 생각하던 몇일 전의 내가 이 책을 일찍봤으면 엄청 난 도움이 되었을 것같았다.
  • 버전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이런 깊은 의미가 있었다는게 재미있었다. 앞으로 버전 숫자들을 보면 쉽게 알아볼것같다.

궁금한 내용이 있거나,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.

  •  
profile

Euge.study( );

@euge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